본문 바로가기

끄적끄적

로또, 복권(2) - 미국 로또 지난번에 유럽 복권에 대해서 알아봤다. 오늘은 미국의 복권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유럽의 복권 규모도 크지만 미국도 만만치 않다. 유럽보다는 미국의 복권이 우리나라 뉴스에 더 많이 나온다. 천조국답게 당첨금 액수가 장난 아니다. 대기업정도는 하나 살정도의 규모이다. 미국에도 복권은 여러 종류가 있으나 대표적으로 파워볼과 메가밀리언이 유명하다. 파워볼 파워볼 구매가격은 2달러이다. 미국시간기준으로 매주 월, 수, 토요일 20시에 추첨을 한다. 이름이 파워볼이다 보니 69개의 숫자를 화이트볼, 26개의 숫자를 파워볼이라고 한다. 1등 당첨방법은 69개의 화이트볼에서 5개를 맞추고 추가로 26개의 파워볼에서 1개를 맞춰야 한다. 극악의 난이도다. 1등 당첨 확률이 무려 292.201.338분에 1 이.. 더보기
우리나라 지역 대표소주 소주 소주라고 하면 보통 증류식 소주를 얘기하나 지금은 다들 녹색병에 들어있는 희석식 소주를 대표적으로 생각한다. 아무래도 대중적으로 많이 마시는 게 희석식 소주라서 그렇다. 음식점에 가서 소주 주세요 하면 당연히 희석식 소주로 준다. 증류식 소주는 일반음식점에서는 잘 구비해 놓지도 않는다. 이렇듯 소주 하면 희석식 소주를 얘기하고 대중적인 술로 많이 알려져 있다. 아무래도 소주의 이미지가 서민적인 술로 각인이 되어있어서 가격도 저렴한 편이다. 물론 지금은 가격이 많이 올랐지만 알코올용량대비 제일 저렴한 건 사실이다. 동네 슈퍼나 편의점에서 간단히 한 병 사서 과자와 먹으면 오천원정도면 충분히 먹을 수 있다. 국물하고 먹고 싶으면 라면 하고도 궁합이 맞다. 생각만 해도 기분이 좋다. 드라마, 영화에서도 .. 더보기
연평균 근로시간(세계) 근로시간 퇴근시간대에 지하철 앞에서 퇴근하는 사람들을 보다가 문득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은 어떻게 될까 궁금해졌다. 물론 다른 나라와 비교를 해봐야 어느 정도 수준인지 파악이 되므로 다른 나라 근무시간까지 알아봤다. 자료는 OECD에서 23년 8월에 발표한 자료가 국가통계포털에 공개되어 있다. 자료를 찬찬히 보니 화가 났다. 다른 국가에 비해서 근무시간이 많다. 물론 일하는 시간대비 소득이 중요하긴 한데 우리나라보다 적게 일하는 나라들이 소득이 낮은 것도 아니다. 이건 업무효율성의 문제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나라마다 기업문화도 다르니 근무시간대비 실제 일하는 시간이 다를 순 있겠다. 다른 나라를 살펴보자. 유럽의 벨기에와 아이슬란드는 이미 주 4일 근무제를 법제화했고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국가들도 .. 더보기
신입생 책가방 신입생 3월이면 이제 새 학기가 개학, 개강이다. 설렘반 기대반 일듯 한데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다를 듯하다. 요즘은 MBTI로 얘기하던데 J랑 T랑 새로운 학기를 대하는 자세가 다르지 않을까? 성향과는 상관없이 학교가 바뀌고 새 학기가 시작이면 가방은 필수품이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 입학하면서 아마 거의 대부분 가방을 살 것이다. 새로 시작하는 자녀를 위해 책가방을 하나 사려고 한다. 종류가 너무 다양하다. 예전에 내가 초등학교 입학할 때는 조다쉬, 쓰리세븐 가방이 인기였다. 나이키 가방도 있었는데 지금의 나이키와는 다르다. 삼나스포츠에서 대한민국 지분을 가지고 운영하고 있을 때라 나이키보다 다른 브랜드들이 인기가 있었다. 가방자체는 튼튼하였으나 세로도 아니고 가로로 큰 가방을 메고 .. 더보기
포트리스2 포트리스2 포트리스2라는 게임을 기억하는가? 지금은 잘 모를 테지만 옛날에는 스타크래프트와 더불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국민게임이었다. 1999년에 서비스를 시작하여 2020년까지 무려 21년간 서비스를 했던 게임이었다. 2020년이면 최근인데 최근까지 이 게임이 운영되고 있었는지는 나도 검색을 해보고 알았다. 포트리스의 인기로 말하자면 PC방이 생긴 2000년대 초창기 시절에는 PC방에 가면 스타크래프트, 리니지, 포트리스2 이렇게 3가지 게임을 하는 사람들이 거의 대부분이었다. 친구들끼리 PC방에 가면 스타크래프트 또는 포트리스를 했던 기억이 난다. 스타크래프트는 실력차이가 나면 게임을 하기 힘들었으나 포트리스의 경우는 간단한 게임이어서 여럿이서 같이 하기가 쉬웠다. 물론 실력도 중요했지만 턴방식 .. 더보기
대학교 계약학과 계약학과 계약학과에 대해서 들어보셨는지 모르겠다. 계약학과란 대학교 교육과정에 맞춤식 직업교육체제를 도입해서 산업체에 맞춤형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대학이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산업체 등과 계약해서 운영하는 학부, 학과를 말한다. 간단히 말하면 산업체에서 맞춤형 교육을 받은 인재를 바로 선발해서 활용하려고 대학과 계약을 해서 운영하는 학과이다. 산업체의 요구에 맞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산학협력교육이 일환으로 2003년에 도입되었다. 계약 없이 대학이 먼저 학과를 설치할 수 없고 입학 외 정원으로 선발한다. 입학 외 정원이라 대학입장에서는 좋다. 계약학과는 크게는 채용조건형과 재교육형으로 나누어진다. 채용조건형은 산업체 등에서 채용을 조건으로 필요경비의 50% 이상을 지원하고 산업체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 더보기
전국 지자체 인구수 기초자치단체 설 연휴에 고향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중에 갑자기 지자체 인구가 궁금해졌다. 생각해 보면 쓸데없는 거에 참 관심이 많다. 각 도별로 가장 인구가 많은 기초자치단체를 알아봤다. 역시 경기도다. 수원시 인구를 보니 대단하다. 수원시 하나가 울산광역시 인구보다 많고 강원도의 인구보다 약간 적다.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인구(명) 경기도 수원시(특례시) 1,197,257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361,498 충청북도 청주시 851,951 충청남도 천안시 655,791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641,908 전라남도 순천시 277,950 경상북도 포항시 492,949 경상남도 창원시(특례시) 1,009,038 행정안전부 24년 1월 조사자료 확실히 지방의 인구가 적은 게 보인다. 큰일이다. 인구가 늘어나야.. 더보기
가족, 친척호칭 가족호칭 설날연휴라 가족끼리 만났다. 우리 집안은 이미 오래전부터 호칭 정리가 되어있어 지금은 불편하지 않다. 그러나 새로운 가족을 맞이하고 처음 명절을 맞으시는 분들은 호칭 정리가 애매할 수 있다. 그래서 호칭에 대해 알아봤다. 내 기준 내 기준으로 호칭을 알아봤다. 내가 남자일 경우와 여자일 경우 호칭이 달라진다. 왜 다르게 나눴을까? 예전부터 사용해 왔던 호칭이라 바꿀 수도 없고 어쩔 수 없다. 계속 사용해서 익히는 수밖에 남자(내가) 여자(내가) 형의 아내 형수 오빠의 아내 새언니, 올케언니 누나의 남편 매형 언니의 남편 형부 남동생의 아내 제수씨 남동생의 아내 올케 여동생의 남편 매제 여동생의 남편 제부 이 정도는 많이 사용하고 주위에서 사용하는 것도 많이 봐서 알겠다. 익히는 건 어렵지 않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