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트위치

반응형

 

트위치

 

트위치가 국내서비스가 2월 27일 부로 드디어 종료되었다. 지난해 12월에 대한민국의 비싼 망사용료 때문에 종료하겠다고 발표를 한지 두 달 만이다. 트위치는 한국 게임방송시장에서 52%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런 강자가 철수를 하니 이제 그 사용자들이 어디로 이동할지가 큰 이슈였다. 국내 철수이유와 사용자들이 어느 플랫폼으로 이동할지에 관한 뉴스는 많이 나와있어서 궁금하지 않았고 트위치란 회사 자체가 궁금해서 알아봤다.

 

트위치는 미국 아마존그룹 산하의 인터넷방송 플랫폼이다.  2011년 6월 6일  Justin.tv에서 게임 부분만 독립해서 탄생했고 본사는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해 있다. 유튜브를 인수했던 구글에서 2014년에 트위치도 인수하려고 했으나 반독점 문제로 포기했다.

결국 아마존이 2014년에 9억 7천만 달러에 트위치를 인수했다. 지금은 가치가 많이 올랐다.

트위치 로고, 자료: 트위치홈페이지

스트리밍 시간

 

스트리밍 데이터 전문 분석 기관 스트림해칫에 따르면 트위치는 2023년 1분기 기준 연간 라이브 스트리밍 시청 시간이 58억 시간으로, 시장 전체의 74%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유튜브 게이밍은 16억 시간으로 15%, 페이스북 게이밍은 3억 시간으로 3.4%, 아프리카TV는 1.6억 시간으로 1.8%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전체로 따지면 물론 유튜브가 점유율은 높으나 게이밍쪽 라이브 스트리밍 시간만 한정된 데이터이다.

트위치는 라이브 스트리밍뿐 아니라 총 시청 시간도 어마어마하다.

트위치 시청시간
연도 총 시청 시간 총 채널 수 총 시청자 수
2020년 1,000억 시간 1,440만 개 2,800만 명
2021년 1,900억 시간 2,440만 개 3,200만 명
2022년 1,600억 시간 2,240만 개 2,900만 명
2023년 1,800억 시간 2,340만 개 3,100만 명

스트림해칫(Stream Hatchet) 스트림엘리먼츠 자료를 활용했다.

 

수익구조

 

트위치 수익구조는 다양하나 역시 주 수입은 광고이다. 방송중간에 광고가 나온다. 

이밖에 구독 및 유료아이템 수수료를 통한 수입이 있다. 시청자가 스트리머를 후원하는 하이프쳇의 수수료 수입도 있다.

하이프챗은 유튜브의 슈퍼챗, 아프리카TV의 별풍선과 같은 개념이다.

이런 수입구조는 다른 동영상 플랫폼과 거의 흡사하다.

 

한국에서 서비스 종료 후에는 스트리머는 한국을 거주 국가로 설정할 수 없고 한국을 거주국가로 설정한 스트리머는 수익을 창출할 수 없다. 수익이 목적인 스트리머는 플랫폼을 이동할 수밖에 없겠다.

 

매출액 

 

2022년 트위치 전체 매출은 28억 달러, 원화로 약 3조 5000억 원에 달한다. 트위치 사용자 중 6%가 한국어 사용자다.

이와 같은 이유로 다올투자증권은 트위치가 국내에서 약 2,036억 원의 매출을 올렸을 것이라고 추정한 바 있다.

물론 추정이지 공식적인 자료는 아니다. 다만 트위치코리아가 매출액을 21억 원으로 자체신고 하면서 말이 많았다.

비슷한 규모의 아프리카의 매출액과 차이가 심했기 때문이다. 외국기업이므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안타깝다.

 

결론

 

트위치 로고이다 지금보니 귀엽다

 

세계적인 플랫폼인 트위치가 한국에서만 철수한다고 하니 세계적으로 큰 이슈가 됐었다.

철수 원인이 망사용료라는 세계적인 이슈여서 그런 듯하다. 그  중심이 되는 우리나라의 사례를 외국이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다.

 

물론 트위치가 한국에서 서버를 운영하지 않는다고 해도 VPN을 써서 우회 접속을 하면 계속 이용은 할 수 있다.

다만 대한민국 스트리머들이 트위치가 아닌 다른 플랫폼으로 이동을 한 상태여서 기존 스트리머의 방송을 보려면 같이 플랫폼을 이동하는 수밖에 없다.

 

이번 기회에 우리나라 토종 플랫폼도 발전해서 세계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이 되었으면 좋겠다.

스트리머들 기업들 모두 다 같이 노력해서 성공적인 이동이 되었으면 한다.

 

반응형